더보기
올해안에 리눅스 마스터 2급 따기를 목표로 '세종사이버대학교 컴퓨터공학과·AI공학과' 유튜브 채널의 컴퓨터·AI공학과 리눅스마스터2급 자격증 특강 강의를 듣고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 오타나 내용 오류시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1. 리눅스 일반
1. 리눅스의 이해
(1) 리눅스 개요
(2) 리눅스 배포판의 특징
(3) 오픈소스 라이선스
2. 리눅스 설치
(1) 리눅스 설치
(2) 파티션과 파일시스템
(3) 부트 매니저
01. 리눅스 일반 - 1. 리눅스의 이해
(1) 리눅스 개요
▶ 리눅스의 특징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 소스코드와 관련 자료가 공개
- 멀티유저(다중사용자), 멀티태스킹(다중작업) → 가상 터미널을 이용한 다중작업
- 다중 스레드 → 동시에 여러 개의 네트워크 작업, 인터넷 서비스
- 다양한 파일 시스템: 리눅스 파일시스템, 윈도우 파일 시스템,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 리눅스의 장점
- POSIX(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표준 기반, 유닉스와 호환 가능
-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동작, 하드웨어 등 시스템 자원 효율성 →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하는 서비스 운영에 유리
▶ 리눅스의 단점
- 공개 운영체제로 기술 지원의 한계, 보안상 취약점 노출 가능성, 한글 지원 미흡 → 최근에는 많이 보완됨
(2) 리눅스 배포판의 특징
▶ 리눅스 배포판이란?
- 리눅스 커널, GNU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등을 함께 묶어서 구성한 리눅스 운영체제 →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배포판이 존재
▶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와 특징
- 슬랙웨어 리눅스(Slackware Linux): 1992년 패트릭 볼커딩, 가장 먼저 대중화
- 데비안(Debian): 데비안 프로젝트, GNU의 공식 후원, apt 패키지 매니저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관리
- 우분투(Ubuntu): 데비안 GNU/리눅스에 기초, 유니티(데스크톱 환경), 사용자 편의성에 초점
- 레드햇: 미국 레드햇사, RHEL(기업용)과 페도라로 나뉨
-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레드햇 사용 리눅스, 서브스크립션 형태의 요금, 출시 후 7년간 기술지원
- 페도라: 레드햇과 커뮤니티의 지원으로 개발, 6개월 마다 새로운 버전, 지원 기간은 13개월
- CentOS: RHEL과 완벽하게 호환, 무료 운영체제
- 수세(SuSe): 독일에서 출시, 롤링 릴리즈(Rolling Release)
▶ 리눅스의 역사
- 켄 톰슨 (UNIX)
→ 데니스 리치 (UNIX C언어로 재개발)
→ 리처드 스톨먼 (GNU 프로젝트, FSF, GPL)
→ 앤드루 타넨바움 (MINIX)
→ 리누스 토발즈 (MINIX 커널 수정, GNU 시스템 커널, 리눅스 커널)
(3) 오픈소스 라이선스
▶ GNU, FSF,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오픈소스 라이선스
- GNU(GNU's Not UNIX): 리처드 스톨만의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프로젝트, 완전한 유닉스 호환 시스템이 목적
- FSF(Free Software Foundation): 리처드 스톨만이 설립, 실행/복제/배포/학습/개작/개선의 자유, 유료/무료 배포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SS): 자유 소프트웨어(Free Software) 대신 사용하게 된 용어, 자유와 무료의 용어 혼돈을 고려
- 오픈소스 라이선스: OSI(Open Source Initiative)가 주도, OSS 개발자와 이용자 간 사용 방법, 조건, 범위 등 명시한 계약
▶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종류와 특징
- GNU GPL(General Public License): FSF가 만든 Free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GPL 코드 사용시 해당 프로그램이 GPL(모두 공개해야 함)
- GNU LGPL(Lesser/Library GPL): LGPL 코드/라이브러리의 단순한 이용 시 해당 프로그램은 소스코드 공개 의무 없음
-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 소스코드 공개 의무 없음, 상업 소프트웨어 사용 가능, OpenCV 등
- 아파치(Apache) 라이선스: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 파생된 프로그램 제작, 저작권 양도, 전송 가능, 상업적 사용 가능
-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라이선스: BSD 라이선스 계열, Node.js, X 윈도우 시스템(X11) 등
- MPL(Mozilla Public License): 모질라 재단, 소스코드와 실행파일의 저작권 분리, MPL 소스코드를 수정한 2차 소스코드는 MPL로 공개 및 원저작자에게 수정 부분 통지, 실행파일은 독점 라이선스 가능
▶ 리눅스 주요 디렉토리의 특징
디렉터리 | 저장 내용 |
/ | ◦ 파일 시스템이 있는 최상위 디렉터리로 루트 디렉터리라고도 함 ◦ 모든 디렉터리의 출발점인 동시에 다른 시스템과의 연결점이 되는 디렉터리 |
/boot | ◦ 부트 디렉터리로 부팅 시 커널 이미지와 부팅 정보 파일 저장 |
/proc | ◦ 시스템 정보 디렉터리이며 커널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 ◦ 현재 실행되는 프로세스와 실제로 사용되는 장치, 하드웨어 정보 저장 |
/lib | ◦ 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터리 ◦ 커널 모듈 파일들과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해주는 라이브러리 저장 |
/bin | ◦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 ◦ root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디렉터리 |
/dev | ◦ 시스템 디바이스 파일들을 저장하는 디렉터리 ◦ 하드디스크 장치 파일, CD-ROM 장치파일 같은 파일 저장 |
/etc | ◦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저장 디렉터리 |
/root | ◦ 시스템 관리자용 홈 디렉터리 |
/sbin | ◦ 관리자용 시스템 표준 명령 및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실행 명령어 저장 |
/usr | ◦ 사용자 디렉터리로 사용자 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 저장 |
/home | ◦ 사용자 계정 디렉터리로 계정들의 홈 디렉터리가 위치 ◦ 일반 사용자들이 로그인 시 처음으로 위치하게 되는 디렉터리 |
/var | ◦ 가변 자료 저장 디렉터리로 로그 파일이나 메일 데이터 저장 |
/tmp | ◦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 작업을 할 때 임시로 생성되는 파일 저장 ◦ 모든 사용자에 대해서 읽기와 쓰기가 허용 ◦ 스티키 비트(Sticky bit) 설정으로 파일의 소유자만이 자신의 소유 파일을 지울 수 있음 |
/mnt | ◦ 파일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마운트 할 때 사용 |
/lost+found | ◦ 결함이 있는 파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터리 |
728x90
'Operating System(OS) > 리눅스 마스터 2급 이론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 2급 자격증 이론 내용 정리 / 02. 리눅스 기본 명령어 - 4. 기타 명령어 (0) | 2024.08.04 |
---|---|
리눅스마스터 2급 자격증 이론 내용 정리 / 02. 리눅스 기본 명령어 - 3. 리다이렉션과 정규 표현식 (0) | 2024.08.04 |
리눅스마스터 2급 자격증 이론 내용 정리 / 02. 리눅스 기본 명령어 - 2. 디렉터리 및 파일 관련 명령어 (0) | 2024.08.04 |
리눅스마스터 2급 자격증 이론 내용 정리 / 02. 리눅스 기본 명령어 - 1. 사용자 생성 및 계정 관리 (0) | 2024.08.04 |
리눅스마스터 2급 자격증 이론 내용 정리 / 01. 리눅스 일반 - 2. 리눅스 설치 (0) | 2024.08.03 |